본문 바로가기
잡다한 건상상식

여러분들은 분노를 어떻게 다스리시나요?

by AB+AB 2021. 11. 18.

 

 

 

 

 

 

여러분들은 분노를 어떻게 다스리시나요?

 

갑자기 치솟는 분노 이렇게 다스려보세요^^

 

 

1. 숫자를 세어 보세요

   분노의 감정이 발생하는 원인은 상대방이 무시하거나, 욕설을 하거나 등등 다양해요.

   이런 감정들은 정상적인 반응이므로 문제라 여길 수 없지만 감정조절이 안된다면 문제의 소지가 있어요.

   분노가 치밀어 오를 때는 1부터 10까지 숫자를 하나씩 세도록 해요

   천천히 심호흡을 하면서 숫자를 세는 것이 포인트예요.

   숫자를 세면서 심호흡을 하면 마음을 가라앉히고 화를 진정 시키는데 도움이 되요.

 
2. 분노에 대한 반응을 바꿔보기

   분노는 휩쓸리지 않고 스스로 통제 할 줄 아는게 중요한대요.

   화가 나면 소리를 지르거나, 폭력을 행사하는 등 공격적인 반응을 보이거나 반대로 속으로 참고 삭히는 경우가 있어요.

   하지만 둘 다 좋은 방법은 아니예요.

   이 대신 심호흡, 명상, 운동 등의 방법으로 대체 할 수 있도록 연습을 하는것이 중요해요.

   당장은 바꾸기 힘들지만 연습과 훈련을 통해 꾸준히 노력하면 분노를 다스리고 통제하는데 매우 효과적이에요.

 
3. 진정시킨 후 분노 표현하기

   분노를 바로 표출을 시키면 큰 싸움이나 겉잡을 수 없는 상황이 만들어 질 수도 있어요.

   분노에 즉각 반응하며 화를 내는 것도 일종의 습관이기 때문에 고쳐야 해요.

   대립하는 상황에서는 상대방 의견을 무시하고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지 말고 심호흡과 함께 시간을 두면서 상황을

   곱씹어 보도록 그런 다음에 어느 정도 마음이 진정되면 그때 냉정하게 판단하고 자신의 의견을 차분하게 주장하는게

   현명한 행동이에요.

 
4. 생각한 뒤에 말해요

   화가 나면 주체하지 못하고 생각나는데로 말을 내뱉는 경우가 정말 많아요.

   그러면 시간이 지난 뒤 후회하기 십상이에요.

   잠시 머리속으로 의견을 정리 한뒤에 대화를 나누어 보도록 해요.

   말은 어떻게 하느냐가 정말 중요해요

   말하는 사람의 태도와 내용에도 많은 것들이 전달되고 때로는 의미와 의도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에요.

 
5. 구체적으로 표현해요

   말도 요령이 필요해요

   특히나 화로인해 상대방에게 불만을 이야기 할때는 부정적이고 비난조의 말보다는 '나 전달법'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에요.

   예를 들어 "매번 술벅고 밤 늦게 들어올거면 나가!"라는 말 대신에 "나는 당신이 건강을 생각했으면 좋겠어요. 술마시고

   늦게 들어오면 걱정이 되서 화가 나요."라고 말해 보세요.

   무작정 남을 비판하는 것은 싸움을 부를 수 있어요.

 
6. 일딴 자리를 벗어나요.

   화가 나서 도저히 참을 수 없거나, 후회할 말이나 행동을 할 것 같은 때에는 자리를 피하는 것도 방법이에요.

   화가 나는 상황에서 한 발 물러서는 거예요.

   이런 경우 자리를 피하는 이유에 대해 분명하게 설명하는 것이 좋아요.

   "내가 화가 너무 나서 어떤말이 나올지 모르겠어. 조금 있다가 이야기하나."

   자리를 벗어나 심호흡을 하면서 자신을 진정시켜요.

   편안한 음악을 듣거나 일기를 쓰는것도 마음의 안정을 찾는데 도움을 줘요.

 
7. 거울을 통해 내 모습을 봐요.

   화를 참기 힘들 때는 화를 내는 나의 모습을 거울로 들여다 보세요.

   화가 났을 때, 분노가 솟구칠때 나의 얼굴 표정이 어떤지를 묵묵히 바라보세요.

   치켜올라간 눈, 주름진 미간, 내려간 입꼬리 등의 분노에 찬 자신의 얼굴을 보다보면 상대방이 나의 이런 표정과 모습을

   보고있구나라는걸 깨달을 꺼예요.

 
8. 자신만의 방법을 찾아보아요.

   화를 주체할 수 없을 땐 운동을 하여 에너지를 발산시키거나 집안 청소를 하여 기분전환을 한다거나 밖에 나가 심호흡을

   하는 등등 자신만이 화를 다스릴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해요.

   방법을 못찾겠거나 분노를 조절하기 힘들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