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에 좋은 음식/나쁜음식!!
고혈압 환자에게 제한하는 식품
1. 염분이 많은 식품 : 베이킹 파우더 / 소다 / 된장 / 고추장 / 간장 / 통조림 / 베이컨 / 햄 / 졸인고기 및 생선 / 치즈 / 김치 /
깍두기 / 장아찌 / 젓갈류 / 버터 / 마가린 / 마요네즈 / 화학조미료 / 조개 / 새우 / 게 / 해삼...
2. 인스턴트 식품 : 라면 및 우동 국물 , 통조림 , 마른안주 , 팝콘 , 감자튀김 , 피자 , 튀긴 땅콩 , 가공한 치즈 ,
여러가지 가공식품 등 염분 함유 식품.
3. 살찌는 음식 : 팥밥 , 과자 , 맥주 , 아이스크림 , 케이크 , 도넛 , 초콜릿
4. 지방이 많은 음식 : 돼지비계 , 소고기 , 초콜릿 , 도넛 , 호두 , 잣
5. 콜레스테롤이 많은 음식 : 소간 , 돼지고기 , 내장 , 버터 , 치즈 , 달걀노른자 , 정어리 , 왕새우 , 오징어, 오징어젓갈 ,
말린 문어
고혈압 환자에게 권장하는 식품
1. 곡류 및 차류 : 보리, 조, 현미 등의 잡곡, 메밀, 율무, 생강차, 인삼차, 옥수수, 고구마, 소금을 넣지 않은 곡류, 빵류
2. 국류 : 된장을 넣거나 소금 간을 하여 말린 생선 등을 넣지 않은 국.
3. 고기 생선류 : 지방이 없는 살코기, 신선한 생선, 가자미, 넙치, 소금을 안 뿌리고 말린 생선
4. 지방류 : 참깨, 참기름, 식물성 기름
5. 채소 과일류 : 두부 및 콩류, 녹황색 채소, 야채샐러드, 해초, 마늘, 부추, 파, 모든 신선한 과일
6. 김치류 : 양념 김치 대신 소금을 넣지 않은 물김치, 겉절이나 장아찌 대신 신선한 채소
7. 혈압 강하 식품 : 표고버섯, 가지, 귤, 인삼, 메밀
8. 칼륨 함유 식품 : 사과, 호박, 감자, 무
9. 고혈압 예방 식품 : 다시마, 김, 미역, 땅콩
고혈압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
1. 체중이 많이 나갈 경우는 정상체중을 유지하도록 한다.
2. 운동을 한다
3. 저지방, 저염분 식사를 하며 야채와 과일을 많이 먹는다.
4. 금연을 한다.
5. 술을 줄인다.
염분섭취를 제한
1. 조리 시 소금, 간장, 된장, 고추장 등은 허용된 양만 첨가한다.
2. 염분 함량이 많은 식품은 피한다.
3. 한 번에 많은 염분을 먹게 되는 국, 찌개, 라면 등의 섭취를 삼간다.
4. 김치는 싱겁게 담가서 조금씨만 섭취한다.
5. 가공된 것이 아닌 신선한 채소 및 과일, 육류를 섭취한다.
칼륨성분이 많이 들어 있는 식품
칼륨성분은 우리 몸 체액에 존재하는 전해질 중의 일부분이며 양이온을 디는 전해질로, 체내 삼투압 농도와 수분상태를
조절하는 중요한 성분입니다.
이 성분은 오렌지, 오렌지 주스, 구운 감자, 바나나, 건자두, 건포도, 시금치, 호박, 귤, 복숭아, 토마토 등의 신선한 과일과
채소에 많습니다.
칼륨이 풍부한 식품
어육류 : 돼지고기 , 정어리 , 연어, 고등어, 조개류
전분류 : 전맥, 고구마
과일류 : 딸기, 바나나, 오렌지, 멜론, 건포도, 귤
채소류 : 시금치, 호박, 우엉, 버섯, 토마토
유제품 : 우유, 치즈
기타 : 땅콩, 잣
카페인을 섭취할 때 주의사항
카페인은 혈압을 상승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반응은 단기간의 반응이며, 반성적이고 지속적으로 혈압이 상승된다는 것은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과다한 카페인의 섭취를 줄이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칼슘과 마그네슘은 고혈압 예방에 도움이 되나?
충분한 칼슘의 섭취가 일반적인 고혈압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칼슘 보충제를 복용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우유 및 유제품, 두부, 뼈째 먹는 생선도 칼슘의 좋은 공급원이 되며 그 외 오렌지, 콩, 빵, 시리얼, 연어나 정어리 등의
생선과 녹색 채소류 등이 있습니다.
마그네슘이 많이 함유된 식품으로 들깨, 검정깨, 호두, 아몬드, 잣, 땅콩 등이 있습니다.
'잡다한 건상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증 그냥 넘어가지 마세요!! (0) | 2022.07.27 |
---|---|
다이어트 칼로리 줄인 요리법!! (0) | 2022.07.25 |
발바닥 통증 족저근막염!! (0) | 2022.07.23 |
더운 여름 물 얼마나 드시나요? (0) | 2022.07.16 |
무탈한 갱년기 나기!! (0) | 2022.07.15 |
댓글